![]() |
텍스트 파일 불러오기 |
파일-불러오기 |
한/글은 한글 문서(*.hwp)뿐만 아니라 텍스트 문서(*.txt)를 직접 읽어 편집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파일 형식이란 일반적인 문자, 숫자, 그리고 각종 기호로만 이루어진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 파일 형식으로, 이는 특수한 제어 문자나 그래픽 문자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목록에서 텍스트 파일을 읽을 때의 코드 형식을 지정합니다.
텍스트 문서를 읽을 때에는 [줄 단위]로 읽을 것인지 [문단 단위]로 읽을 것인지 읽는 방식을 지정해야 합니다.
보통의 텍스트 파일을 읽어들이는 방식입니다. 줄마다 하나의 문단으로 간주하여 읽어들입니다.
줄마다 하나씩의 문단으로 읽어들이는 것이 아니라, 여러 줄을 계속 연결하여 한 문단으로 읽어들이고 빈 줄이 나올 때만 문단을 바꿉니다. 다른 워드 프로세서에서 작성한 문서의 내용을 살려 한/글에서 편집하고 싶을 때 이 방식으로 읽어 들입니다.
읽어올 텍스트 파일의 본문을 어떤 글꼴로 사용할 것인지 [글꼴 설정] 목록에서 선택합니다.
바탕문서에서 '바탕글' 스타일로 설정된 글꼴이 기본 글꼴로 나타납니다
[텍스트 문서 종류] 대화 상자의 [문자 코드 선택] 목록에서는 '한국(CP949), 한국(KSSM), 일본(SJIS), 간체(GB), 번체(BIG5), 북한(KPS)' 등 약 60개의 코드 형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텍스트 문서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완성된 글자 하나하나에 코드값을 부여하기 때문에 코드값으로 배당되지 않은 글자는 쓸 수 없습니다. 한글로 표현할 수 있는 11,172자 중 21%인 2,350자만 코드값으로 배정되어 있습니다.
한글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코드값을 부여한 것으로 현대 한글이 나타날 수 있는 모든 글자 11,722자를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한글 한 자를 표현하는 데에는 2바이트(16비트)가 사용되는데, 처음 1비트는 영어인지 한글인지 구분하는 데 쓰이고 나머지 15비트는 초성, 중성, 종성에 각각 5비트씩 할당됩니다.
확장된 일본 표준 코드입니다.
중국 표준 코드입니다.
대만 표준 코드입니다.
북한 표준 코드입니다.